Russia Khaba, Kyrgyzstan Biskek
Kyrgyzstan

클래식 음악

[스크랩] 첼로 연주곡

비쉬켁 2007. 1. 20. 20:10
    01. Paganini - Fantasy on a theme by Rossinifrom "Mose in Egitto" 02. Offenbach - Les larmes du Jacqueline 03. Kreisler - Schon Rosmarin 04. Saint Saens - The Swan 05. Rachmaninoff - Vocalise 06. Bach - Arioso 07. Mascagni - Elegie 08. Tchaikovsky - Nocturne No.4 09. 엘가 첼로 협주곡 e단조 작품 관현악 악보에 첼로(cello)라고 표기된 것은 악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첼로를 연주하는 사람(cellist)을 약어로 표기한 것이다. 첼로의 정식 명칭은 비올론첼로(violoncello)인데 작은 더블베이스라는 뜻을 갖고 있다. 비올로네(violone)는 비올족 악기를 뜻하는 어간(viol)에 크다는 뜻을 가진 어미(-one)를 붙여서 만든 단어로 큰 비올라라는 뜻이 되고 이는 결국 더블베이스가 되는데 여기에 다시 첼로(cello)라는 축소형 어미가 붙게 되어 비올론첼로는 결국 작은 더블베이스가 되는 것이다. 첼로는 바이올린이나 비올라에 비해 훨씬 크고 연주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운지법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운지를 제외하고는 주법과 기능에 있어서 바이올린과 비올라와 거의 같다. 첼로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오케스트라에서 크게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가 함부르크에서 활동한 요한 마테존에 의해 인정을 받게 되고 바흐와 헨델의 관현악곡에 이르러서는 현악기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를 잡는다. 그때까지만 해도 첼로는 더블베이스와 함께 저음 베이스 성부에 국한되었다. 바로크의 통주저음 양식이 쇠퇴하면서 첼로의 기능이 보다 다양해지게 되고 그 일례로 바흐는 첼로를 위해 다섯곡의 소나타를 작곡하기도 한다. 당시,다양한 기법과 테크닉이 작곡가들에게 알려지지 않아 하이든과 모차르트에 이르러까지 첼로의 테크닉은 단조로운 선에 그치고 있었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베토벤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첼로는 더블베이스와의 관계를 청산하고 독자적인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낭만주의를 지나면서 바그너에 오면 첼로는 지금까지 해왔던 자기 역할을 찾는 여행을 청산하고 현대의 스타일로 정착한다. 오늘날 첼로는 화음악기가 아니라 독주악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출처 : 사랑과 섬김
글쓴이 : baram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