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8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에 대한 농산물 및 식료품 수출 금지 조치를 해제하면 러시아도 상응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크림병합 5주년을 맞아 크림반도를 방문한 푸틴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대표단을 이끌고 크림에 온 티에리 마리아니 '프랑스-러시아 대화협회' 회장과의 면담에서 "유럽이 제재를 해제하면 당연히 우리(러시아)도 대응 조치를 해제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가 제재를 도입한 근본 원인이 사라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크림병합 5주년을 맞아 크림반도를 방문한 푸틴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대표단을 이끌고 크림에 온 티에리 마리아니 '프랑스-러시아 대화협회' 회장과의 면담에서 "유럽이 제재를 해제하면 당연히 우리(러시아)도 대응 조치를 해제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가 제재를 도입한 근본 원인이 사라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출처:크렘린.ru
그의 이 발언은 티에리 회장이 러시아의 대EU 제재 해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답변하는과정에서 나왔다. 푸틴 대통령은 "내 답변이 우리 러시아 농산물생산업자들에겐 반갑지 않을 수도 있지만"이라는 전제를 달고, "(EU 제재가) 러시아 농산물생산업자들에게는 시장을 장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극제가 됐다"고 지적하는 등 EU의 선도적 조치없이는 제재 해제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러시아 농수축산식품 시장은 EU의 대러 제재이후 러시아 업체 중심으로 이미 판도가 완전히 바뀐 상태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계기로 양측은 지난 5년간 제재와 보복, 재보복의 사이클을 그리며 대립해왔다. 러시아는 지난 2014년 8월 초 서방의 대러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EU 회원국과 미국,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등의 농수산물 및 식료품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수입금지 조치를 취했다. 이후 2015년 8월부터는 서방 식료품의 '우회 수입로' 역할을 해온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등이 제재 대상 국가로 추가됐고, 2017년 1월엔 우크라이나도 제재 대상 국가에 올랐다.
그의 이 발언은 티에리 회장이 러시아의 대EU 제재 해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답변하는과정에서 나왔다. 푸틴 대통령은 "내 답변이 우리 러시아 농산물생산업자들에겐 반갑지 않을 수도 있지만"이라는 전제를 달고, "(EU 제재가) 러시아 농산물생산업자들에게는 시장을 장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극제가 됐다"고 지적하는 등 EU의 선도적 조치없이는 제재 해제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러시아 농수축산식품 시장은 EU의 대러 제재이후 러시아 업체 중심으로 이미 판도가 완전히 바뀐 상태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계기로 양측은 지난 5년간 제재와 보복, 재보복의 사이클을 그리며 대립해왔다. 러시아는 지난 2014년 8월 초 서방의 대러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EU 회원국과 미국,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등의 농수산물 및 식료품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수입금지 조치를 취했다. 이후 2015년 8월부터는 서방 식료품의 '우회 수입로' 역할을 해온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등이 제재 대상 국가로 추가됐고, 2017년 1월엔 우크라이나도 제재 대상 국가에 올랐다.
'에따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미 대통령에 대한 뮬러 특검 보고서에 러시아측 반색-정상회담 성사? (0) | 2019.03.26 |
---|---|
미 장거리 핵폭격기 B-52를 식별, 요격에 성공한 러 수호이-27 전투기 (0) | 2019.03.25 |
이제는 공식화된 EU-우크라-러시아 '2인3각 제재' 도돌이표 (0) | 2019.03.19 |
우주강국의 체면을 되살린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 발사 성공 (0) | 2019.03.18 |
러 국방부, 푸틴 국정연설 내용 중 첨단 무기 개발 내용을 뒷받침 (0) | 201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