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ia Khaba, Kyrgyzstan Biskek
Kyrgyzstan

에따 러시아

극동러시아의 고민

비쉬켁 2015. 6. 27. 18:11

노는 땅을 개발할 것인가? 아니면 계속 그대로 둘 것인가? 극동 러시아가 고민에 빠졌다. 푸틴 대통령의 동방정책에다, 서방의 대 러시아 제재로 중국과의 경제협력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중국 자본에 노는 땅을 임대하자는 지자체 결정에 모스크바 중앙 권력이 느닷없이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지난해부터 밀려들고 있는 중국 자본에 대한 러시아 특유의 경계심이 발동한 것이다. 한마디로 '황화(黃禍)'다. 이러다 동쪽 지역을 중국에 다 뺏길 수 있다는 우려다.

문제의 땅은 극동 지역의 중국과 국경을 마주한 자바이칼스키주(州)의 황무지다. 이 땅을 중국의 민간기업 ‘우아에 싱방’에 49년간 장기임대하는 가계약을 자바이칼 주가 이달(6월)들어 체결했다. 그러나 본계약 체결을 앞두고 중앙 정치권에서 계약 체결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 기업이 임대하는 면적은 1000㎢ 크기다. 서울(622㎢)의 두 배 가까운 상당히 넓은 면적이다. 목적은 중국인을 대거 투입해 황무지를 개발하고, 장기적으로 농사를 짓겠다는 것. 임대료는 4900억원 수준.

중앙 정계에서는 극우민족주의 성향의 자유민주당이 계약 체결 반대에 앞장서고 있다. 자유민주당 소속인 이고르 레베데프 러시아 하원(두마) 부의장은 “땅을 빌려주면 중국인들이 엄청나게 밀려들 것”이라며 “수십 년이 지난 뒤에는 중국이 그 땅을 아예 요구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공산당의 블라디미르 포즈다냐코프 의원도 “중국의 투자는 ‘트로이 목마’를 러시아로 들여오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에는 역사적으로 접경 지대에 중국인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반대하는 시각이 존재한다. 중국과 국경을 접한 러시아의 5개 행정구역에는 540만명이 살고 있는데, 상대편 중국에는 10배가 넘는 6300만명의 중국인이 산다. 중국인이 국경을 넘기 시작하면 자연스레 그 지역이 중화권으로 변할 것이라는 걱정이다. 

그렇다고 놀고 있는 땅을 개발하는 일을 반대할 수는 없다. 특히 '불모지의 땅' 시베리아의 지역 개발이고, 푸틴 대통령마저 동방정책을 펴고 있는 판이다. 세르게이 아바노프 대통령 비서실장은 “극동을 발전시킬 인구가 모자라는 현실에서 중국이 투자해주면 좋지 않으냐”고 말했다. 자바이칼스키 콘스탄틴 일코프스키 주지사도 “러시아에선 아무도 그 땅을 쓰겠다는 사람이 없었다”고 토로했다. 

선택은 러시아의 몫이다. 극동에서 비행기로 10시간 가까이 떨어진 모스크바가 아니라 노는 땅을 쳐다보고 있는 지자체 즉 자바이칼주가 당사자다(바이러시아자료)